본문 바로가기

SNMP

(3)
SNMP MIB SNMP로 장비를 운용하려면 그 장비가 지원하는 관리 대상 정보의 집합, 이를 보통 MO(Managed Object)라 부르는데 이에 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SNMP에서는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으로 정의됩니다. SNMP를 지원하는 장비라면 Feature에 어떤 MIB을 지원하는지 명기하고 Manager는 그 MIB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MIB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MIB 개요 MIB은 ASN.1 Syntex로 작성되는 Text 파일입니다. 표준 Syntex이기 때문에 작성된 파일만 있으면 표준 MIB이든 Private MIB이든 모두 해석할 수 있습니다. RFC 1213(MIB-2)를 예로 들면 아래와 같이 하나의 Obj..
SNMP 개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Management Protocol이다. 전 세계 Network 장비의 70% 이상이 SNMP를 지원하고 있고, 역사가 깊은 만큼 이미 검증된 다양한 툴과 라이브러리가 있어 개발, 검증이 용이하다. 반면, GET, SET, NOTIFICATION의 단순한 구조는 표준화가 용이하지 않고 다양한 OAM 기능을 구현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RFC로 정의된 많은 표준 MIB이 있고 대형 장비업체들이 기본적으로 지원하고는 있지만, 운용에 필요한 절대다수는 MIB은 Private MIB으로 지원하고 있고, 주요 기능은 Vendor Specific 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Service Provider..
NMS EMS 개요, 정의 효율적으로 Network 장비를 운용, 관리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영역에 맞는 NMS와 EMS가 필요하다. 통상 유선망의 경우 NMS 단독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동 통신망의 경우 NMS와 더불어 EMS를 필수로 요구한다. 이 글에서는 전반적인 Management System의 개념을 알아보고, NMS, EMS의 차이점을 설명하려 한다. 우선 NMS는 Network Management System의 약자이고, EMS는 Element Management System의 약자이다. 아주 오래된 표준 문서인 TMN에서는 둘을 NM, EM, NE 등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관련 표준 문서에 대해서는 추후 기회가 있을 때 살펴보기로 하고 우선은 개략적인 개념을 살펴보자. Management System은 통..